제일장 서론:한국문자의 이해
〔第一章 緒論:韓國文字的理解〕
제일절 한국문자-한글의 유래
〔第一節 韓國文字-韓文「한글」的由來〕
제이절 한국 한글의 자모「닿소리」
〔第二節 韓國韓文的字母〕
제삼절 한국 한글의 자음
〔第三節 韓國韓文的子音〕
제사절 한국 한글의 모음「홑소리」
〔第四節 韓國韓文的母音〕
제이장 한글자모의 인식
〔第二章 韓文字母的認識〕
제일절 한글의 자음
〔第一節 韓文的子音〕
제이절 한글의 모음(일)
〔第二節 韓文的母音(一)〕
제삼절 한글의 모음(이)
〔第三節 韓文的母音(二)〕
제사절 한글의 겹받침
〔第四節 韓文的雙尾音〕
제삼장 한글자모 병자 발음연습
〔第三章 韓文字母併字發音練習〕
제일절 자음+기본모음
〔第一節子音+基本母音〕
제이절 자음+기본모음+자음
〔第二節 子音+基本母音+子音〕
제삼절 자음+결합모음
〔第三節 子音+結合母音〕
제사절 자음+결합모음+자음
〔第四節 子音+結合母音+子音〕
제사장 한국어 회화(일)
〔第四章 韓國語會話(一)〕
제일절 인사와 예절
〔第一節 問候與禮節〕
제이절 시간과 날짜
〔第二節 時間與日期〕
제삼절 장소와 쇼핑
〔第三節 場所與購物〕
제사절 전화와 약속
〔第四節 電話與約會〕
제오장 한국어 회화(이)
〔第五章 韓國語會話(二)〕
제일절 식당과 음식
〔第一節 餐廳與飲食〕
제이절 입국과 여관
〔第二節 入境與旅館〕
제삼절 교통과 탑승
〔第三節 交通與搭乘〕
제사절 병원과 운동
〔第四節 醫院與運動〕
제육장 결론:한글단문열독
〔第六章 結論:韓文短文閱讀〕
제일절 한국의 애국가
〔第一節 韓國的愛國歌〕
제이절 한국의 태극기와 무궁화
〔第二節 韓國的太極旗與無窮花〕
제삼절 한국민족 및 대한민국의 유래
〔第三節 韓國民族與大韓民國的由來〕
제사절 한국어와 한글
〔第四節 韓國語與韓文〕
*참고서목
〔參考書目〕